전체 글27 [JSTL] import JSTL의 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페이지를 호출하는 경우에 param을 이용해서 값을 넘기는 방법 JSTL을 사용하는 방법 c태그 선언 import를 이용하여 param의 name값과 value값을 선언 넘어가는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그 전페이지에서 설정해준 name값을 'param.설정해준 name 값' 으로 사용) Controller부분에서는 다음과 같이 받으면된다. request.getParameter("id"); 2020. 5. 22. 제네릭(Generic) 제네릭이란? 제네릭이란 데이터타입의 일반화(generalize)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네릭은 클래스나 메소드에서 사용할 내부 데이터 타입을 컴파일 시에 미리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제네릭의 장점 1. 클래스나 메소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타입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반환값에 대한 타입 변환 및 타입 검사에 들어가는 노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제네릭 선언 class Generic{ T element; void setElement(T element){this.element = element} T getElement(){return element} } Class명에 를 써줘서 제네릭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T를 타입 변수(type variable)라고 하며,임의의 참조형 타입을 의미한다. (.. 2020. 5. 20. 자바 쓰레드(Thread) 쓰레드(Thread)란? 쓰레드란 어떠한 프로그램내에서 특히 프로세스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입니다. 모든 프로세스는 한 개 이상의 쓰레드를 갖고 있습니다. 만약 한 개 이사의 쓰레드를 갖고 있는 프로세스를 멀티쓰레드 프로세스라고 합니다. 프로세스란? 보통 우리가 프로그래밍 언어(Java,C언어 등)으로 소스를 짜서 만든 것을 "프로그램"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동작하게 만들어 운영체제에 의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아 실행 중인 것을 "프로세스"라고 합니다. Java 쓰레드는? 프로세스는 보통 하나의 프로그램 처리 경로를 가지고 있는데, 이 경로는 직렬적(하나의 방향을 가짐)이어서, 어떤 일을 수행할 때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순서대로 일을 처리하는데, 만약 앞 뒤가 필요 없는 일.. 2020. 5. 20. 이전 1 ··· 4 5 6 7 다음